언리얼 공식 문서1 - 게임 모드와 게임 스테이트 (링크)
공식 문서2 -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 (링크)
문서2의 내용 중 게임 모드와 스테이트의 개요가 언급된다.
게임플레이 상태와 흐름은 일반적으로 GameMode 액터를 통해 구동됩니다. 서버에만 이 액터의 유효 사본이 저장됩니다 (클라이언트에는 사본이 전혀 저장되지 않습니다). 이러한 상태를 클라이언트에게 통신하기 위한 용도로 GameState 액터가 있어, GameMode 액터의 중요한 상태를 반영합니다. 이 GameState 액터는 각 클라이언트에게 리플리케이트 되도록 마킹되어 있습니다. 클라이언트는 이 GameState 액터에 대한 사본을 추정 저장하며, 이 액터를 참고로 하여 게임의 일반적인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.
GameMode
- 해당 레벨의 게임 규칙, 처리방식등의 룰에 대한 정보를 넣는데 유용.
- 레벨이 열릴 때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한 번에 하나씩만 존재
- 서버에만 존재하며, Remote에 Replicate 되지 않는다. ★
- Remote에서는 인스턴스에 접근이 불가능
GameState
- GameMode에 의해 생성된다. (GameMode에서 생성될 GameState를 세팅하니까!)
- 게임 모드적인 정보 중 모든 플레이어와 공유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포함시키는데 유용.
(현재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와 같은)
- 서버에 존재하며, 리플리케이트됨. ★
- GameMode와 비슷하지만 모든 클라이언트가 공유받을 수 있다는 차이.
'프로그래밍 > Unrea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E] 프레임워크에 관여하기 (0) | 2021.09.10 |
---|---|
[UE] Console Command (0) | 2021.06.29 |